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ipeline
- 추가 보안 그룹
- helm_release
- NAT
- aws-loadbalacner-controller
- 테라폼
- IRSA
- ingestion
- Terraform
- Docker0
- saa-c03 #saa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 instances failed to join cluster
- 에이전트 유형
- s3
- jenkins
- assumerole
- route53
- node group
- 클러스터 보안 그룹
- 코드커버리지
- httpasswd
- Service Account
- fruition
- docker
- Amazon CloudWatch
- 에이전트 구성
- aws ses #aws lambda
- Gateway
- kubernetes
- amazon sns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9)
cloudwithbass

목차 최근에 네트워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을 느끼고 있습니다.low level network라고 하면 내용이 방대하지만, 기초부터 차근차근 알아가보려 합니다.그 시작은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MAC, ARP, VLAN입니다. MAC은 OSI 2계층에서 사용되고, IP는 OSI 3계층에서 사용한다는 말을 들어봤을 것입니다.이 말은 즉 IP는 네트워크 대역을 찾는 데 사용되며, MAC 주소는 그 네트워크 대역 내의 정확한 위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는 의미입니다. 우선 이런 느낌으로 이해하면 됩니다.이 그림에 대한 내용은 이 포스팅에서 점차 설명하겠습니다. 1. Mac address MAC address는 Layer 2에서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고유 식별자입니다. 주로 N..

최근 비사이드 포텐데이 412에 참여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저는 프로젝트에 실패했습니다.이 포스팅에선 비사이드 포텐데이에 대해 소개하고, 제가 실패한 이유를 돌아볼 것입니다.목차1. 비사이드 포텐데이란?참여자들이 팀을 구성해서 10일 동안 서비스를 만드는 온라인 해커톤입니다.참여 분야는 기획, 디자인, 개발 세 종류이며, 자발적으로 팀을 구성합니다. 팀이 구성되지 않으면 비사이드에서 임의로 팀을 구성해 줍니다.저는 DevOps 개발자로 참여했습니다.참여비는 10만 원입니다. (얼리버드 신청 시 30% 할인)2. 왜 비사이드에 참여했나?저는 2024년 8월에 대학교를 졸업한 이후 Udemy의 강의와 여러 서적들을 통해 이론적 지식들을 공부했습니다.그래서 저에겐 실무와 프로젝트 경..

목차1. 서론저는 현재 Cloud Watch를 이용해 AWS 리소스 모니터링 환경을 구성하고 있습니다.아래 그림은 제가 구성하려는 모니터링 아키텍처입니다.AWS의 리소스들을 CloudWatch로 모니터링하고, 임계치가 넘으면 Cloud Watch 알람을 생성하며 이는 Amazon SNS에 게시됩니다. SNS에 주제가 게시되면 이를 구독하는 Lambda가 트리거되고, Lambda는 Slack을 통해 개발자에게 알림을 주는 구조입니다.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이전에 AWS SAA 시험과 Cloud Watch 워크숍을 진행하며 Cloud Watch → Amazon SNS → Lambda 구조를 당연하게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이 아키텍처를 구성하던 중 CloudWatch 설정에서 아래 내용을 발견했습니다.알림 ..

이 포스팅에선 최근 진행한 프로젝트에 NAT Instance를 도입한 과정을 작성했습니다.목차1. NAT Instance 도입 배경최근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AWS에 서비스를 배포했습니다.프로젝트에서 알게 된 사실 중 하나는 NAT Gateway의 사용료가 꽤 비싸다는 점입니다.NAT Gateway의 사용료는 시간 당 $0.059이기 때문에 한 달 내내 사용 시 약 $42.5가 부과됩니다. (+ 트래픽에 따른 비용 청구)이는 1달러 당 1451원인 현재 환율로 약 61,600원이기 때문에 꽤 부담되는 금액입니다. 서비스는 중단되어선 안 되며, 보안을 위해 Private subnet을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Piravte subnet에서 인터넷으로 트래픽을 전달할 수단 또한 반드시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거의 2주일 만에 포스팅을 작성합니다. 당연히 공부를 쉰 건 아니고요 최근 한 대기업의 채용 연계형 인턴 면접을 다녀왔습니다.생애 첫 면접을 다녀오고 느낀 점과 기록해야 할 일들을 작성하겠습니다.(기업 명이나 면접 질문 목록에 대해선 작성하지 않았습니다. 이 내용을 찾기 위해 블로그에 오셨다면 도움이 되지 않을 거에요.)왜 26살 먹도록 면접 한 번 보지 않았나?저도!!!!! 면접을 보고 싶었습니다. 저는 올해 8월에 대학교를 졸업했습니다.졸업한 이후 중소 기업, 중견 기업 가리지 않고 총 20여 군데에 서류를 지원했었는데요.. 단 한 군데도 붙지 못 했습니다.심지어 한 곳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에선 탈락했다는 연락 조차 주지 않았었죠. 그래서 저는 '몇 년 동안 그렇게 공부를 열심히 했는..

저는 정적 콘텐츠는 CloudFront + S3로 정적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동적 정보는 WAS에서 제공하는 것이 효율적인 구성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하지만 프로젝트 경험이 부족해서 WAS에서 동적 정보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알 수 없었습니다.따라서 이번 포스팅을 통해 S3와 RDS를 통해 정적 정보와 동적 정보를 포함한 html 파일을 호스팅하는 데모를 생성하여 이 방법을 익히고자 합니다.초급자용이 아니므로 리소스를 생성하기 위해 어떤 버튼을 눌러야하는지 등의 정보는 생략할 것입니다.목차1. RDS, EC2 생성데이터를 저장할 RDS와 서버를 호스팅할 EC2를 생성합니다.MySQL을 사용했으므로 DB가 사용하는 보안 그룹의 3306 인바운드 포트를 허용합니다. 퍼블릭 ip 54.180.15..

Fluent Bit의 공식 문서에서 ABOUT, CONCEPTS 섹션의 내용을 번역한 글입니다.Fluent Bit의 개념을 빠르게 알 수 있도록 제가 생각하는 핵심 사항들을 요약해서 작성했습니다.따라서 Fluent의 역사, 라이센스 등 기술적 개념과 연관성이 적은 항목은 생략했습니다. 이러한 자세한 내용들은 공식 문서를 참고바랍니다. 목차ABOUT 1. What is Fluent Bit?Fluent Bit는 제한된 시스템부터 복잡한 클라우드 인프라까지, 광범위한 환경에서 원격 측정 데이터를 처리하고 수집하는 어려움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설계된 오픈 소스 원격 측정(telemetry) 에이전트입니다. Fluent Bit는 로깅 계층을 최적화하고 메트릭과 추적 처리 과정을 추가하여 여러분의 인프라에 대..

이 포스팅은 유튜브 CNCF 채널의 KubeCon North America 2024의 강연 중 DNS Deep Dive in Kubernetes with Core DNS의 내용을 한글로 정리한 글입니다. 영어 강의이므로 저의 의역이 포함되었습니다.타임라인을 작성했으니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강의를 참고바랍니다.또한 강의 후반부에서 multi cluster에서의 도메인과 Istio에 대해 다루는데, 저는 해당 내용을 경험해본 적이 없어서 잘못된 정보를 작성할 것 같아서 이 내용은 생략했습니다. 강의를 참고 바랍니다.https://youtu.be/lAUmdIGP_fE?si=axHUGfr0g0_gUoFr목차 02:32 | Life of a DNS Request in Kubernetes Cluster DNS r..

AWS Developer Guide의 Tutorial: Ingesting data into a domain using Amazon OpenSearch Ingestion 문서를 한글로 의역하고, 실습 사진을 포함한 저의 가이드를 추가한 글입니다.튜토리얼 문서의 내용이 아니라 제가 추가로 설명한 부분은 '*' 표시를 붙이고, 본명조 글씨체에 굵기를 높여 표시했습니다.목차 이 튜토리얼은 Amazon OpenSeearch Ingestion을 사용해서 간단한 파이프라인을 구성하는 방법과 Amazoon OpenSearch Service 도메인으로 데이터를 수집시키는(ingest) 방법을 보여줍니다.파이프라인이란 OpenSearch Ingestion에서 프로비저닝하고 관리하는 리소스입니다.여러분은 파이프라인을 이용해..

GitLab Docs의 Tutorial: Create and run your first GitLab CI/CD pipeline 문서를 한글로 의역하고, 실습 과정을 사진으로 설명하는 글입니다.GitLab을 처음 접하는 경우, ssh 등의 추가 설정이 필요하므로 해당 튜토리얼의 내용만으로는 튜토리얼을 실습하기 어렵다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그 방법을 공유하고자 이 글을 작성합니다.튜토리얼 문서의 내용이 아니라 제가 추가로 설명한 부분은 본명조 글씨체에 굵기를 높여 표시했습니다.사전 요구사항이 튜토리얼을 시작하기 전에 다음 사항들을 준비해 주세요:CI/CD를 사용할 GitLab 프로젝트프로젝트의 관리자 역할프로젝트가 없을 경우 다음 주소에서 무료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https://gitlab.com프로젝..